24년이 벌써 끝나버렸는데요.
24년 국장의 투자는 정말 너무나 어려웠습니다.
24년 수급주체별 순매수 상위종목
2024년 한 해 동안 외국인 투자자들이 주요 글로벌 주식 테마에 집중하며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특히 AI(인공지능), 바이오, 방위산업, 전력 분야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높은 수익률을 달성했습니다.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며 상위 종목의 하락에 직면했습니다.
개인 투자자, 주요 종목 하락으로 손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24년(1월 2일~12월 27일) 개인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의 주가 수익률은 평균 -6.07%로 집계되었습니다. 즉 한해동안 개인이 순매수한 종목을 구매하였다면 적자였단는 것인데요. 그 중, 삼성전자는 31.59% 하락하며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손실을 본 종목이었고, 삼성SDI와 LG화학 역시 각각 47.46%, 50.5% 하락했습니다. 그 외에도 한화솔루션은 60.89% 하락, NAVER와 호텔신라 등도 큰 손실을 봤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이 대형주에 대한 물타기 매수에 나섰지만, 반등 없이 손실이 확대된 상황이었습니다. 특히 대표주인 삼성전자가 -31%나 기록하면서 국민들의 주식에 대한 손실이 커졌습니다.
외국인 투자자, 글로벌 테마로 높은 수익
반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전력, 바이오, 방위산업 관련 종목들에서 높은 수익을 올렸습니다. 외국인이 가장 많이 상승한 종목은 HD현대일렉트릭, 전력 사이클의 대표적인 수혜주로 376.28% 상승을 기록했으며, 알테오젠(205.58%)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147.68%)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외국인이 가장 많이 담은 종목은 현대차로, 상반기 역대 최고가를 경신한 뒤 하락세를 보였지만 장기 성장성을 평가받으며 하락을 방어했습니다. 또한, SK하이닉스(23.32%)와 삼성바이오로직스(22.89%)도 긍정적인 수익률을 기록했고, 크래프톤(60.12%)은 저가 매수로 큰 이익을 냈습니다.
외국인들은 포트폴리오 관리를 정말 잘해서 많은 수익을 낸 것으로 보입니다.
기관 투자자, 금융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기관 투자자들은 주로 금융주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좋은 성과를 올렸습니다. 특히, 신한지주(20.42%), 하나금융지주(32.72%), KB금융(57.12%), 메리츠금융지주(71.74%) 등은 대폭 상승하며 기관 투자자들에게 큰 수익을 안겨줬습니다. 또한 고려아연은 경영권 분쟁으로 변동성을 키우면서 106.22%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고려아연의 경우 경영권 분쟁이 진행되면서 엄청난 주가 상승이 나타났습니다.
코스피 증시 등락률
올해 코스피는 9.63% 떨어졌고 중소형주 위주인 코스닥 하락률은 21.74%에 달했습니다.
지난해 코스닥 지수 등락률이 글로벌 주요국 증시 가운데 사실상 '꼴찌'를 기록했는데요.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보다도 부진한 성적표로 마감했습니다.
12월 31일 글로벌 금융정보 사이트 인베스팅닷컴이 제공하는 글로벌 주요 32개 국가 및 지역 내 43개 증시 지수의 등락률을 분석한 결과, 코스닥 지수가 수익률 최하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32개 국가 및 지역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G20 회원국을 비롯해 대만, 홍콩 등 중화권 증시, 유럽연합(EU)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국내 증시 폐장일인 지난달 30일 678.19로 마감한 코스닥은 1년 새 무려 21.74% 뒷걸음질 치면서 글로벌 43개 지수 중 43위를 기록했습니다. 현재 3년 넘게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공 전쟁을 치르고 있는 러시아의 RTSI 지수(42위, -17.56%)보다도 낮은 수치로 참담한 수치입니다. 현직 대통령의 불법적인 비상 계엄으로 인하여 나라의 불확실성이 커진 것으로 원인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9.63%) 역시 43개 지수 중 38위에 그쳤습니다. 주변국의 증시 성적표와 비교하면 국내 증시 저평가 현상은 더욱 두드러집니다. 8위 일본의 닛케이지수(19.22%), 12위 홍콩의 항셍지수(17.56%) 등 인근 아시아 국가들은 나란히 두 자릿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St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서울 부동산 계급도 (0) | 2025.01.12 |
---|---|
2024년 대한민국 평균 자산 (1) | 2024.12.12 |
CPC가 높은 키워드는 무엇일까? 애드센스 CPM 전환 (0) | 2024.03.09 |
롯데케미칼 실권주 청약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