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에서 '2025년 서울 부동산 계급도도'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해당 계급도는 총 6단계의 피라미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별 아파트 가격 차이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2025년 서울 부동산 계급도
부동산 계급도는 2024년 11월 기준으로, 각 구별 실거래가 최고가인 ‘대장아파트’의 3.3㎡(이하 전용면적, 1평)당 호가를 구간별 나눠 계급을 매기는 방식으로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피라미드 꼭대기를 차지한 1~2위 지역은 서초구와 강남구입니다.이들 지역 대장아파트의 호가는 3.3㎡당 7200만원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초구 대장아파트는 2023년 8월 입주한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2990가구)’. 84㎡ 호가는 47억9000만원에 달합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이 단지 같은 주택형은 지난 8월 60억원에 신고가 거래되었는데요. 한강 조망 가구는 50억원 이상에 거래되었고, 한강 조망이 안 되는 가구들도 50억원에 가까운 가격에 손바뀜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강남구에서는 1977년 준공한 압구정동 ‘현대 5차(224가구)’가 대장 아파트라고 할 수 있는데요. 82㎡ 호가는 46억원에 달합니다. 지난 10월에는 47억9800만원에 거래돼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 단지는 압구정동 최대 규모 재건축 구역인 압구정 3구역으로 묶인 아파트입니다.
- 최상위 (7200만원 이상): 강남구, 서초구
- 두 번째 계급 (5400만원 이상): 용산구, 송파구
2번째로 높은 계급에 해당하는 3~4위는 용산구와 송파구로, 이들 지역 대장단지 호가는 3.3㎡당 5400만원 이상인데요. 용산구는 이촌동 한강맨션 101㎡ 호가가 42억원, 송파구는 잠실동 ‘엘스’ 84㎡ 호가가 26억원입니다. - 세 번째 계급 (4100만원 이상): 성동구, 마포구, 광진구, 양천구
3번째 계급인 5~8위는 3.3㎡당 4100만원 이상인 성동, 마포, 광진, 양천구입니다. 성동구 성수동 ‘트리마제’ 84㎡ 39억5000만원, 마포구 용강동 ‘래미안 마포리버웰’ 84㎡ 22억원, 광진구 자양동 ‘롯데캐슬 리버파크시그니처’ 84㎡ 22억9000만원, 양천구 목동 ‘목동신시가지5단지’ 83㎡ 19억9000만원 수준입니다. - 네 번째 계급 (3700만원 이상): 영등포구, 강동구, 동작구, 중구, 종로구
- 다섯 번째 계급 (2500만원 이상): 서대문구, 강서구, 동대문구, 성북구, 은평구, 관악구
- 여섯 번째 계급 (2000만원 이상): 노원구, 구로구, 중랑구, 금천구, 강북구, 도봉구
2020년과의 변화 비교
5년 전인 2020년 서울 부동산 계급도와 비교해 보면, 가격 상승과 함께 계급 내 변동이 있었습니다.
- 강남구와 서초구는 5년 전에도 최상위를 유지했으며, 3.3㎡당 평균 매매가는 5000만원에서 7200만원 이상으로 2200만원 상승.
- 두 번째 계급은 2020년에는 특정 지역 중심(동부이촌동, 여의도동, 잠실동, 목동)이었으나, 2025년에는 용산구와 송파구가 포함되어 전체 구 단위로 확장.
- 중간 계급인 3.3㎡당 3000만원 이상 지역이었던 용산구, 송파구, 성동구, 마포구는 2025년 5400만원 이상으로 상승하며 한 단계 상위 계급으로 이동.
- 하위 계급(1800만원~2500만원) 지역은 큰 변화 없이 상승 폭만 발생.
전국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 순위 (2024년 12월 기준)
- 서울: 3.3㎡당 4992만9000원 (1위)
- 경기도, 세종시: 2000만원 이상 (2위)
- 인천, 부산: 1500만원 이상 (3위)
- 대전, 대구, 울산, 광주, 경남: 1000만원 이상 (4위)
- 충북, 강원, 충남: 900만원 이상 (5위)
- 전북, 전남, 경북: 800만원 이상 (6위)
양극화 심화와 전망
서울 부동산 계급도와 전국 아파트 매매가를 비교했을 때, 상위 지역과 하위 지역 간의 격차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강남구, 서초구 등 상급지는 집값 상승세가 계속되며, 하급지와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2025년에도 수도권은 강보합세를 유지하는 반면, 지방은 하락세가 지속되며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수요자 선호 지역 중심으로 이러한 경향이 강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정말 엄청난 집값 상승인데요. 25년에도 상승할지 아니면 25년에는 집값이 좀 안정을 찾아야 할텐데요.
'St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외국인과 기관이 산 종목은? (4) | 2025.01.01 |
---|---|
2024년 대한민국 평균 자산 (1) | 2024.12.12 |
CPC가 높은 키워드는 무엇일까? 애드센스 CPM 전환 (0) | 2024.03.09 |
롯데케미칼 실권주 청약 (0) | 2023.01.27 |